정말 학생들이 문제인가?
학생들의 문해력을 개탄하는 기사를 볼 때마다 들었던 생각이 있습니다.
‘어른들은 정말 글을 잘 읽는 것일까?’
학창 시절을 되돌아보면 그때도 글을 잘 못 읽고 책 보는 것을 끔찍하게 싫어하는 친구들이 있었습니다. 그 친구들이 학교를 졸업하면 갑자기 책을 많이 보고 글을 잘 읽게 되지는 않을 것 같았지요. 오히려 억지로 강제하는 선생님도 없고, 부모들도 더 이상 간섭하기 어려워지게 될 테니 더 글을 안 읽게 되지 않을까요?
실제로 그랬습니다. 통계로도 나와 있어요.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6명은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다고 합니다. (한 해 동안 일반도서를 읽은 성인의 비율, 즉 성인 종합 독서율이 43%) 20대 성인이 책을 가장 많이 읽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점 독서율이 떨어집니다. (20대 74.5%, 30대 68.0%, 40대 47.9%, 60세 이상 15.7%)
학생들은 최상위권, 어른들은 평균 이하
독서 실태 조사를 통해 살펴보면 대한민국 성인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책을 안 읽습니다. 일하느라고 바쁘다는 것은 핑계일 뿐입니다. 저는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합니다. 주로 지하철을 이용하는데, 전철 안에서건 전철을 기다리면서건 텍스트를 읽는 사람을 못 본 것 같습니다. 대부분 스마트폰으로 하는 것은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더군요. 간혹 무언가 읽고 있다면 웹툰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.
경험상 독서는 의지를 가지고 목표를 정해서 습관을 들이지 않으면 일상에서 하기 어려운 행위가 된 것 같습니다. 스마트폰이 없었을 때는 하다못해 스포츠 신문이라도 읽었지요. 연예인 가십이라고 해도 텍스트로 되어 있는 것을 읽을 수밖에 없었습니다. 스포츠신문이라고 해도 그 텍스트는 나름 정돈된 것이었지요. 댓글이나 인터넷의 저급한 글에 비하면 훨씬 양질(?)의 텍스트였던 것 같은데요. 지금은 대부분 동영상이고 텍스트라고 해봐야 댓글 정도일 뿐입니다. 급속하게 문해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만들어진 것입니다.
이 역시 통계로 나와 있습니다. 2022년 OECD에서 실시한 국제학업성취도 평가(PISA)에서 대한민국의 학생들은 세계 3위의 문해력을 갖췄다고 평가됐습니다. 이거 최상위권입니다. 어른들이 기가막혀 혀를 찰 수준의 문해력이 아닙니다. 반면 OECD가 성인들을 대상으로 언어능력, 수리력,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는 국제성인역량조사(PIAAC)에 따르면 대한민국 성인의 문해력은 OECD 평균보다 11점 낮은 수준에 그칩니다. 오히려 학생들이 어른들의 문해력에 대해 혀를 차야 할 수준인 것이지요.
더 큰 문제는 성인들의 문해력 수준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는 점입니다. 다른 OECD국가들보다 점수 하락이 훨씬 빠르다고 합니다. 반면에 초·중·고등학생의 종합독서율은 95.8% 이고 연간 종합독서량도 36.0권으로, 성인보다 10배 넘게 많습니다. 한마디로 대한민국의 학생들은 책도 열심히 읽고 있고 문해력도 세계 최고 수준이니 어른들이 개탄을 하고 혀를 찰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. 그들보다 책을 훨씬 덜 읽고 세계 평균 수준에도 못 미치는 문해력을 가지고 있는 우리 성인들이 진짜 문제인 것 같습니다.
닥치고 독서!
정치인도 아니고 사회 운동가도 아닌 제가 내린 결론은 젊은 세대의 문해력에 대해 개탄할 시간에 책을 한 권이라도 더 읽자는 것이었습니다. 다른 사람, 다른 세대를 걱정 할 때가 아닙니다. 타인을 바꿀 생각은 어리석습니다. 사람은 다른 사람의 계도나 계몽으로 바뀌는 존재가 아닙니다. 하물며 아무런 영향력이 없는 제 이야기를 누가 들어주겠어요?
단지 이건 알려야 할 것 같습니다. 독서 실태 조사에서 제 눈길을 확 사로 잡은 건 이거였습니다.
‘월평균 소득이 500만 원 이상의 독서율은 54.7%, 월 소득 200만 원 이하의 독서율은 9.8%’
돈이 많은 사람은 생업에 쫓기지 않아서 여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반면, 소득이 낮은 계층은 책 읽을 시간이 없어 독서할 기회조차 박탈당하고 있다, 이렇게 저 통계를 해석한다면 답은 없습니다. 대신 책을 많이 읽으면 월평균 소득이 높아질 가능성이 많다, 그러니 책을 읽어야 한다라고 해석한다면 답은 ‘하나’지요.
‘닥치고 독서’입니다.
'문해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등학생에게 한자 공부를 꼭 시켜야만 할까? (0) | 2025.01.15 |
---|---|
책 읽기는 생각근육을 단련하는 운동이다!! (0) | 2024.11.15 |
인공지능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가? (0) | 2024.07.03 |
수능이 끝나도 '수능적 문해력'은 계속 필요하다 (0) | 2023.12.12 |
책을 '자투리 시간'에 읽어야 하는 이유 (0) | 2023.12.11 |